지은이: 지영
펴낸곳: 아름다운날
출판일: 2011.12.10.
1권이 렌이 류타카를 만나고 류타카가 렌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는 전반적인 배경을 설명하는 부분이다. 1권까지의 그들의 관계는 크게 진전되지 않았지만 곧 2권에서 그들의 관계가 좀더 끈끈해지고 애틋해질 것만 같은 이른바 떡밥을 옅게 깔아두었다. 그리고 2권에서는 그에 대한 회수는 매우 빠르게 이루어졌다.
앞서 1권을 읽은 후기에도 적어두었다시피 사실 이 책의 배경이 개인적으로는 독특했다. 전쟁 포로로 일본에 가게 된 여자 주인공과 해당 국가의 권위자인 남자 주인공이라는 점은 어쩌면 많이 보던 관계일 수 있지만 배경이 조선이 아닌 일본이라는 점이 신선하게 느껴졌다. 그렇지만 기대에 부풀었던 1권과 달리 2권은 다소 아쉬운 부분이 많았다.
그렇지만 일단 먼저 재밌게 읽었던 부분을 꼽자면 최대한 역사 자료를 많이 참고하려고 했다는 점이다. 물론 일본의 역사에 대해 세세히 잘 아는 편이 아니기에 작가가 정확하게 반영했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애매하게 고치려고 하지 않고, 어딘가 근거를 두고 작가가 나름 풀어내려고 했다는 점에서 배경과 분위기 모두 소설 내용에 충분히 집중할 수 있게 해주었다. 아마 배경이 신선하게 느껴진 것 또한 작가가 촘촘하게 배경을 잘 설정한 덕분이 아닐까 싶다.
다음으로 렌을 몰입해서 볼 수 있었던 것은 작가의 섬세한 묘사 때문이다. 등장인물의 심리 뿐만 아니라, 그들의 묘한 감정과 상황 묘사를 너무 직접적이지도, 간접적이지도 않은 표현으로 공감과 상상을 적절히 할 수 있게 해주었다. 물론 이로 인해서 주인공들이 서로 갑갑하게 할 때 함께 숨이 턱 막힐 수 있다는 문제점이 생기기도 했다. 더불어 인물들의 성격의 가변성이 급작스럽지 않다는 점 또한 이야기의 흐름을 놓치지 않고 계속해서 따라갈 수 있게끔 했다. 이렇듯, 렌의 작가는 섬세한 묘사와 필력을 통해서 편하게 소설의 흐름을 독자가 따라갈 수 있게끔 해주었다. 이러한 부분이 렌이라는 두 권의 소설을 끝까지 흐름을 놓치지 않고 읽을 수 있었던 점이라고 생각된다.
그럼에도 아쉬운 부분은 아무래도 갈등과 위기 부분이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아쉬운 것은 둘의 관계가 깊어지는 부분이었다. 아무래도 둘은 시대에 따른 국적의 문제가 매우 컸다. 이를 넘을 만큼의 위기와 이를 함께 극복하는 과정을 작가가 쌓고 싶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행히 이러한 위기가 마냥 답답하게 느린 속도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많은 위기가 몰아닥침으로 인해서 다소 기운 빠지게 해결되는 느낌이 있었다.
다음으로 이쉬운 전개도 역시 휘몰아치는 위기로 인한 후유증과 다소 연결되는 부분이 있다. 아무래도 빠른 전개를 하다보니, 후반 부분에 이르러서는 두 주인공에 좀더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 때문인지 1권 부터 차곡히 쌓아온 다른 주변 인물에 대한 서사는 대부분 사라지게 되었고 그들의 생각과 묘사가 다소 축소되는 아쉬움이 있었다. 또한 위기와 갈등이 함께 찾아옴에 따라서 갈등을 빚은 인물 간의 해결이 어떻게 서로 납득될만한 계기로 인해서 이루어진 것인지 놓치게 되는 경우도 생겼다.
이렇듯 조금은 아쉬운 부분이 존재하긴 했지만, 사실 이러한 아쉬운 점 또한 렌을 읽는 동안 내내 흥미롭게 집중하며 읽었기에 생긴 것이기도 하다. 아주 재미없었더라면 이런 부분들에 대한 언급이 있었을까 싶다. 따라서 촘촘하게 배경을 잘 엮은 역사 로맨스 소설을 찾는다면 최근 읽은 소설인 렌을 추천하고 싶다.